사회

수원시

수원에 온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정착 돕는다

수원에 온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정착 돕는다

Jan 14,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가 올해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다문화가족·외국인 주민을 위한 맞춤형 교육, 이주 배경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진학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수원시는 6만9000여명에 이르는 수원시내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지역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외국인주민이 꼭 알아야 할 생활법규 일제 조사’를 시행한다. 자동차·세무·청소..

“수원시는 심재덕 前 시장의 발자국을 따라 걷는 듯합니다”

“수원시는 심재덕 前 시장의 발자국을 따라 걷는 듯합니다”

Jan 14,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를 화장실문화 선도지로 이끈 고(故) 심재덕 전 수원시장을 기리는 11주기 추모행사가 14일 해우재 문화센터에서 열렸다. ㈔미스터토일렛심재덕기념사업회의 주최·주관으로 열린 추모식에는 심재덕 전 시장의 가족과 지인을 비롯해 고인을 추모하는 일반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해 함께 고인을 추억하는 시간을 가졌다. 추모 행사는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 추모미사로 시작돼 심재덕 전 시장이 잠들어 있는 용인 두창리 묘소를 참배한 뒤 해우재 문화센터에서 추모식으로 마무리됐다...

“수원시 식품위생업소 필요한 자금 1%로 융자하세요”

“수원시 식품위생업소 필요한 자금 1%로 융자하세요”

Jan 14,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가 음식점과 가공업소 등 식품위생업소에서 필요한 자금을 1%의 저금리로 융자하는 ‘2020 식품진흥기금 시설 개선자금 융자지원’을 실시한다. 사업주들은 시설이나 화장실 개선, 모범음식점 운영 등에 필요한 자금을 시중보다 저렴하게 빌려 쓸 수 있다. ‘식품진흥기금 시설 개선자금 융자지원’은 식품제조가공업체와 식품접객업소를 대상으로 시설 개선자금, 화장실 개선자금, 모범음식점 운영자금 등을 3000만 원부터 최대 5억 원까지 연 1% 금리로 융자해 준다. ..

호매실IC~수원역 통행 빠르고 편해진다

호매실IC~수원역 통행 빠르고 편해진다

Jan 14,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 권선구 행정타운교차로 고가차도가 임시개통해 상습정체를 빚던 서수원 행정타운 일대의 통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수원시는 서수원권 교통망 확충을 위해 추진한 행정타운교차로 고가차도를 15일 오전 11시부터 임시개통한다. 이번 임시개통으로 호매실IC~수원역 구간의 교통정체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 연장 940m의 행정타운교차로 고가차도 공사는 21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LH가 시행, 오는 2월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수원시 노후도시공원 이대로 좋은가?’

‘수원시 노후도시공원 이대로 좋은가?’

Jan 13, 2020 | 편집부기자

 

도시공원 전문가들과 시민들이 수원시 도시공원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수원시정연구원과 ㈔한국조경학회는 오는 15일 오후 2시 노보텔 앰배서더 수원 3층 낭트룸에서 ‘수원시 도시공원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한국조경학회와 수원시정연구원이 주최‧주관하고 수원시가 후원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노후도시공원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전문가들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주제발표는 안승홍 ㈔한국조경학회 공원녹지연구회 회장이 ‘노후..

전국 최초로 ‘GIS 기반 옥외광고물 설치 기준 안내 서비스’ 제공

전국 최초로 ‘GIS 기반 옥외광고물 설치 기준 안내 서비스’ 제공

Jan 13,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가 GIS(지리정보시스템)를 기반으로 옥외광고물 설치 기준을 안내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공한다. 수원시 항공사진서비스 홈페이지(http://www.suwon.go.kr/suwongis)에서 ‘분야지도→도시계획→옥외광고물 정보(일반특정구역)’을 클릭하면 관내 일반특정구역이 지도에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지도의 일반특정구역 내 건물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옥외광고물 기준 정보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플러스 동수원점이..

수원시민안전보험·자전거보험, ‘수원시민안전보험’으로 통합

수원시민안전보험·자전거보험, ‘수원시민안전보험’으로 통합

Jan 13, 2020 | 편집부기자

 

모든 수원시민에게 보험 혜택을 주는 ‘시민안전보험’과 자전거 사고가 났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수원시민 자전거 보험’이 ‘수원시민안전보험’으로 통합됐다. 수원시는 지난해 4월 수원시에 주민등록을 한 모든 시민(등록 외국인 포함)이 별도 보험 가입 없이 무료로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시민안전보험에 가입한 바 있다. 비슷한 성격의 수원시민 자전거 보험은 2012년부터 매년 가입하고 있다. 시민들이 더 편리하게 보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1월부터 자전거..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 전 수원시장, 11주기 추모행사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 전 수원시장, 11주기 추모행사

Jan 10,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 민선 1·2기 시장을 지낸 故 심재덕 전 수원시장(1939~2009)의 11주기 추모행사가 14일 해우재 문화센터, 정자동주교좌성당, 용인 두창리 묘소 등에서 열린다. (사)미스터토일렛 심재덕 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추모행사는 오전 6시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 봉헌되는 추모 미사로 시작된다. 심재덕 전 시장은 천주교 신자다(세례명 요셉). 오전 9시 두창리 묘소(용인구 처인구 원삼면 두창호수로)를 참배하고, 11시부터 해우재문화센터(장안구 장안로)에서 추모식을..

알코올 중독 회복자들, 유튜브로 희망 선물

알코올 중독 회복자들, 유튜브로 희망 선물

Jan 09, 2020 | 편집부기자

 

“저는 한때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운 삶을 보냈습니다. 지금은 건강하게 치료를 받고, 잃어버렸던 웃음과 즐거움을 되찾아가고 있습니다. 제 이야기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알코올 중독을 극복한 이들이 용기를 내, 자신의 재활 스토리를 제작한 유튜브 영상이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수원시가 지원하는 알코올 중독자 정신재활시설 경기다사모(다시 시작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 제35회 졸업생 윤○○씨(30)는 알코올 중독 아버지로 인해 불우한 유년 시절을 보..

수원시 공공기관 채용, 투명하고 공정하게 ‘새로고침’

수원시 공공기관 채용, 투명하고 공정하게 ‘새로고침’

Jan 08, 2020 | 편집부기자

 

2020년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고침’을 천명했던 수원시의 의지가 시정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경제와 복지, 문화, 환경 등 주요 정책에서 새로고침의 방향이 제시되며 중점 사업들이 다듬어지고 있다. 의례적으로 진행되던 딱딱한 분위기의 종무식과 시무식을 없애고 새 해 첫 날을 시청 로비에서 음악회로 시작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수원시 공공기관의 채용이 ‘새로고침’ 된다.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각 기관의 채용제도를 통합적으로 개선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

수원시, 새해에도‘광역버스 사전예약제’계속 운영한다

수원시, 새해에도‘광역버스 사전예약제’계속 운영한다

Jan 08,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가 시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광역버스 사전예약제’를 새해에도 지속해서 운용한다. 수원시는 지난해 7월부터 국토교통부 보조사업인 광역버스 사전예약제를 운용했다. 광역버스 사전예약제는 기점에서 멀리 떨어진 정류장에서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출근 시간에 좌석을 예약할 수 있는 제도다.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가 사업을 중단했지만, 수원시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시 예산을 투입해 광역버스 사전예약제를 계속해서 운용하기로 했다. 수원에서 강남역·사당역 등을 오가는..

‘우리 동네 사업’ 주민이 직접 제안하고, 추진해요!

‘우리 동네 사업’ 주민이 직접 제안하고, 추진해요!

Jan 08, 2020 | 편집부기자

 

수원시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주도하는 ‘수원형 마을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이 추진된다. 수원시와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은 7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2020 수원형 마을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 통합설명회’를 열고 사업 내용을 설명했다. ‘수원형 마을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은 주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마을공동체가 스스로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민들이 마을학교·공동육아·마을자치 사업 등 마을에 필요한 사업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