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양시

고양시 해움에서 만나는 빛의 향연…홍수연 작가 ‘바운더리즈’ 전시

고양시 해움에서 만나는 빛의 향연…홍수연 작가 ‘바운더리즈’ 전시

Mar 09, 2023 | Q기자

 

고양예술창작공간 해움의 1기 입주작가 홍수현의 《바운더리즈(Boundaries)》 전시가 3월 6일부터 4월 2일까지 해움의 윈도우갤러리에서 열린다. 홍수현 작가는 ‘빛’을 주제로 활동하는 설치미술가다. 작품이 놓이는 공간의 재료, 구조, 쓰임새를 세심히 고려하고 거기에 빛을 더해 공간의 다양한 측면을 비춘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해움 윈도우갤러리 주변에 빛을 펼쳤다. 작가에 의해 해움 주변에 새롭게 만들어진 빛은 규모와 볼륨감, 색으로 관객의 시선을 끌어당긴다. ..

고양시 2023 대한민국 독서대전 기념, 주엽어린이도서관 ‘이예숙 작가의 방’ 운영

고양시 2023 대한민국 독서대전 기념, 주엽어린이도서관 ‘이예숙 작가의 방’ 운영

Mar 08,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오는 9월 ‘2023 대한민국 독서대전’ 개최를 앞두고 다양한 독서 문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세계그림책 특성화 주엽어린이도서관은 오는 3월 14일부터 4월 16일까지 꼼지락 꼼지락 그림책 갤러리에서 「이예숙 작가의 방」 전시회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사라지는 동물 친구들’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이예숙 작가의 대표작 《우리 곧 사라져요》와 그림책《이상한 구십구》을 선보인다. 이예숙 작가는 대학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졸업 후 교습..

고양시 폐기물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 운용심의위원회 개최

고양시 폐기물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 운용심의위원회 개최

Mar 08,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고양환경에너지시설 주변 영향지역 주민을 지원한다. 시는 지난 7일 상하수도사업소 회의실에서폐기물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 운용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주민지원기금은 고양환경에너지시설 주변의 지역주민 2,687세대의 복리증진을 위해 전년도 일반용 종량제 봉투 판매액에서 제작비와 판매수수료를 제외한 비용의 5%를 출연하여 마련된다. 이날 위원장인 고양특례시 기후환경국장을 비롯하여 의회 의원, 주민대표, 전문가 등 12명으로 구성된 폐기물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

초록의 도시 ‘고양’… ‘숲’으로 물들다

초록의 도시 ‘고양’… ‘숲’으로 물들다

Mar 08,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녹색도시 조성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나무를 심고 숲을 가꿔 건강한 산림 자원을 만들고, 생활권 내 도시숲을 늘려 미세먼지 저감, 열섬 현상 완화는 물론 시민들에게 힐링 공간을 선사하고 있다. 시는 올해 산림 및 녹지 정책으로 ▲조림 ▲숲 가꾸기 ▲가로수 식재 ▲도시숲 리모델링 ▲학교숲 조성 ▲자녀안심그린숲 조성 등 6개 사업에 약 15억 원의 예산을 들여 푸른 고양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숲’으로 ‘산림자원’ 키워… 건강한 산림 생..

고양시, 신청사 GB 환원·원당재창조 “민선8기 내 추진 가능”

고양시, 신청사 GB 환원·원당재창조 “민선8기 내 추진 가능”

Mar 08,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를 위한 기존 신청사 부지 그린벨트 해제환원, 원당재창조 프로젝트(창조R&D캠퍼스 조성 포함)가 민선 8기 동안 추진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고양시청 원당 신청사 건립계획에 따라 신청사 예정부지 주교동 206-1번지 일원 약 80,615㎡ 가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됐다. 민선 8기 들어 ‘원당 신청사 건립’ 대신 ‘백석동 이전계획’으로 계획이 변경됨에 따라 기존 신청사 GB해제 부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환원될 예정이다. 개발제한..

고양시,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 사업 보조사업자 공모

고양시,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 사업 보조사업자 공모

Mar 07,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녹색성장을 위한 지방보조금 지원사업인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 사업의 보조사업자를 모집한다. 녹색성장을 위한 지방보조금 지원사업은 △저탄소 녹색소비 시장 개최 △시민참여 녹색생활 실천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구성된다. 총 사업비는 2,000만원으로 공고일 현재 고양시에 주소를 두고 활동하는 비영리법인 및 비영리민간단체를 모집한다. 신청방법은 시 홈페이지에 공고된 신청서류를 구비하여 오는 3월 20일까지 고양시 환경정책과에 방문접수를 통해 신청할 수 있..

배움에 나이 없다” 고양시 높빛희망학교 운영

배움에 나이 없다” 고양시 높빛희망학교 운영

Mar 07,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 시대적 환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교육의 기회를 놓친 성인 비문해자들에게 검정고시 없이 수업 이수만으로 학력을 인정하는 ‘높빛희망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높빛희망학교는 2021년 개소하여 2022년 제1회 초등과정 졸업생을 배출했다. 현재 2023년도 학력인정 중학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지난 2월 24일 원흥평생학습센터(원흥1로 26)에서 열린 제2회 높빛희망학교 초등과정 졸업식에서는 졸업생 15명과 선생님, 가족이 참석해 졸업생을 축하했다. 제..

고양시, 2023년 1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접수

고양시, 2023년 1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접수

Mar 07,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청년의 정기적인 소득지원을 통한 사회활동 촉진 및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위해 2023년 3월 31일 오후 6시까지 1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을 접수받는다. 청년기본소득은 신청일 기준 고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경기도에 최근 3년 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원(최대 4분기 지원)을 카드형 고양시 지역화폐(고양페이)로 지급한다. 1분기 지급대상자는 1998년 1월 2일생부터 1999년 1월 1일생으로 일자리..

고양시, 2023년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 운영

고양시, 2023년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 운영

Mar 06,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올해도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를 운영한다.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는 3월 14일부터 11월 18일까지 운영된다. 시는 시민의 자전거 이용 편의를 증하고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자전거 수리센터는 고장난 자전거를 무상 혹은 시중보다 저렴하게 수리 받을 수 있어 많은 시민의 사랑을 받아왔다. 또한 가정에 방치되어 있던 노후 자전거를 재활용함으로써 탄소중립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 ..

‘행주대첩 430주년 기념’ 고양행주문화제 5월 19일 개최

‘행주대첩 430주년 기념’ 고양행주문화제 5월 19일 개최

Mar 06,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의 대표축제인 ‘고양행주문화제’가 오는 5월 19일 열릴 예정이다. 제35회 고양행주문화제는 올해 행주대첩 430주년을 기념해 더 크고 화려한 볼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제35회 2023년 고양행주문화제는 오는 5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행주산성에서 열린다. 한강의 아름다운 풍경과 만개한 봄꽃을 동시에 즐기는 시간이 될 것이다. 고양행주문화제는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기념하는 행사로, 2019년부터 ..

걷기 좋은 고양시로 거듭난다…보도 정비에 59억원 투입

걷기 좋은 고양시로 거듭난다…보도 정비에 59억원 투입

Mar 06,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걷기 좋은 도시로 거듭난다. 시는 올해 59억원을 투입해 어울림로 등 15개소에 보도 정비 공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역사적인 도시들은 모두 걷기 좋은 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거리의 배치나 길이 도보 이동에 알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치솟는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보행자 중심 가로(街路)는 이미 네덜란드, 영국, 일본 등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가로 정비 사업의 새로운 물결이다.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

고양시, 민간 대형 건설현장 안전점검 마쳐

고양시, 민간 대형 건설현장 안전점검 마쳐

Mar 03, 2023 | Q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해빙기 안전관리 강화와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민·관 합동 안전점검을 마쳤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지난 2월 2일부터 16일까지 22개의 대형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점검은 토질 및 기초, 건설안전 등 각 분야의 민간전문가와 합동으로 진행됐다. 시는 점검을 통해 흙막이 가설 구조물 등 해빙기 안전사고 취약공종 확인, 공사장 주변 건축물 축대·옹벽 등 인접 구조물 보호 조치 여부, 기타 현장 안전관리 실태와 현장 감리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