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서울

서울시, 4·5등급 경유차 조기 폐차로 대기질 개선 박차…251억원 추가 투입

2023.07.06 16:27 | Q

  • twitter twitter facebook youtube 카카오


서울시는 올해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목표를 초과 달성함에 따라 251억원 규모의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오는 12일(수)부터 추가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올해 서울시 조기폐차 지원 예산은 140억원으로, 시는 상반기에 노후 경유차 및 건설기계 3,977대의 조기폐차를 지원해 올해 예산 전액을 집행했다.

2025년부터 서울시내 운행제한 대상을 4등급 차량으로 확대함에 따라 시는 올해부터 4등급 차량의 조기폐차 지원을 시작했다. 올해 지원 목표는 2천대였으나 신청 수요가 많아 상반기에 당초 목표 물량의 158%인 3,168대를 지원했다.

시는 지난해 9월 「더 맑은 서울 2030」 종합계획을 통해 ’25년부터 4등급 차량의 사대문 안 운행을 제한하고 ’30년에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추경예산 확보로 하반기에는 4등급 차량 5,130대와 건설기계 70대의 조기폐차를 지원할 예정이다. 약자와의 동행 기조에 따라 소상공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도 이어간다.
취약계층을 위한 추가 대책으로 저소득층(생계형 차량)* 및 소상공인**에게는 상한액 내에서 100만 원을 별도 지급한다.
* 저소득층(생계형 차량) : 수급자증명서(‘국민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확인서’)
** 소상공인 : 소상공인 확인서(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http://sminfo.mss.go.kr/ 발급)

지원 금액은 상반기와 동일하다. 차량 등급별로 상한액 내에서 폐차 지원금과 무공해 차량구매에 따른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4등급 차량의 경우 3.5톤 미만 차량은 최대 8백만 원, 3.5톤 이상 차량은 7,500cc 초과 시 최대 7천 8백만 원까지 지원한다.


건설기계 역시 상한액 내에서 폐차 지원금과 차량구매 추가 지원금을 지급한다. 조기 폐차하면 기준가액의 100%가 지원되며, 폐차 후 신차를 구매하면 200%를 추가지원(중고차는 도로용 3종에 한해 100%)한다. 비도로용 2종은 무공해차 구매 시 5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도로형 3종 건설기계, 굴착기, 지게차는 폐차한 후 같은 차종을 구매하는 경우에만 지원받을 수 있다.

하반기 접수는 7월 12일부터 시작한다. 4, 5등급 경유차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누리집(http://mecar.or.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건설기계는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이메일(1577-7121@aea.or.kr) 또는 등기우편(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317, 6층)을 통해 신청받는다.
자세한 사항은 12일 서울시 누리집에 게재되는 ‘2023 운행차 및 건설기계 조기폐차 보조금 2차 지원사업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청 대상은 신청일 기준 서울시 또는 대기관리권역에 6개월 이상 연속해서 등록된 자동차나 건설기계다. 단, 4등급 차량 중 매연저감장치가 부착돼 출시된 차량과 정부 지원으로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했거나 저공해 엔진으로 개조한 자동차, 건설기계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노후경유차, 건설기계 부문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해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확대했다”라며 “상반기 조기폐차 신청 조기마감으로 신청하지 못한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사회

서울

서울시, 신축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물막이판 설치 의무화`

서울시, 신축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물막이판 설치 의무화`

Aug 02, 2023 | Q기자

 

서울시가 집중호우 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지하공간 물막이판 설치를 의무화하고,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 법 개정도 건의한다고 밝혔다. 또한 비가 많이 내릴 때에 물을 모아두는 단지 내 "빗물 연못" 조성도 권장할 계획이다. "물막이판"은 집중호우 시 지하주차장 진출입구로 한꺼번에 많은 빗물이 쏟아져 피해를 입지 않도록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시설로서 이번 폭우에 따라 지하공간 침수 대비책 마련을 본격화하여, 향후 시민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

서울시, 층간소음 등 환경분쟁 3년간 288건 해결···신속·저비용 장점

서울시, 층간소음 등 환경분쟁 3년간 288건 해결···신속·저비용 장점

Aug 01, 2023 | Q기자

 

서울시 환경분쟁조정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최근 3년간 공사장 소음․진동, 공동주택 층간소음 등 총 288건의 환경분쟁을 해결했다고 밝혔다. 환경분쟁조정제도는 전문성을 갖춘 행정기관이 법원을 대신해 소음, 진동, 악취 등 일상 속 환경분쟁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다. 소송 대비 적은 비용으로 위원회가 피해 사실을 입증해주고, 절차도 간단해 변호사의 도움 없이 진행할 수 있다. 분쟁조정은 배상을 청구하는 ‘재정’, 당사자 간의 합의를 유도하는..

서울라이트 DDP, `레드닷 2023`에서 국내 빛 축제 중 유일하게 `본상` 수상 쾌거

서울라이트 DDP, `레드닷 2023`에서 국내 빛 축제 중 유일하게 `본상` 수상 쾌거

Jul 31, 2023 | Q기자

 

DDP의 비정형 외벽을 이용한 222M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 전시인 ‘서울라이트 DDP’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3’에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Winner)을 수상했다, 서울라이트는 DDP를 운영하는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이경돈)이 DDP 외관을 활용해 해마다 겨울밤을 화려하게 밝히는 시민 감동형 미디어 축제로 현장 관람 인원만 100만 명에 달하는 세계적인 행사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 노르트하임 베스트팔렌 디자인 센터가 주관하는 디자인 대..

서울의 공원에서 모래사장 걸어보세요, 월드컵공원 `난지비치` 조성

서울의 공원에서 모래사장 걸어보세요, 월드컵공원 `난지비치` 조성

Jul 31, 2023 | Q기자

 

서울시는 그동안 자전거와 산책길로 이용되던 월드컵공원 난지연못 주변의 데크를 약 600㎡의 둔치와 모래사장이 펼쳐진 ‘난지비치’로 조성 완료했다. 월드컵공원 난지연못은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하는 이용객들이 많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곳이었으나 사고를 예방하고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난지연못 주변에 둔치를 새로 조성했다. 난지비치는 난지연못의 노후 데크 일부를 철거하여 조성한 600㎡ 모래사장으로 안전뿐만 아니라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어우러지도록 고려하여 만들었다..

서울시, 아리수 안심하고 드세요!···시민과 함께 `맛있는 아리수 캠페인`

서울시, 아리수 안심하고 드세요!···시민과 함께 `맛있는 아리수 캠페인`

Jul 27, 2023 | Q기자

 

서울시는 경제적이고 건강하며, 환경을 생각하는 아리수 먹는 문화 확산을 위해 시민과 함께하는 ‘맛있는 아리수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6월 29일 향후 100년을 대비하는 ‘서울시 상수도 종합계획 2040, 아리수 2.0’을 발표하고 다양한 홍보 및 캠페인을 통해 2026년까지 서울시민이 아리수를 먹는 비율을 50%(2021년도 환경부 조사 기준36.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시는 ‘맛있는 아리수 캠페인’ 시작을 알리는 첫 행사를 ..

서울시, 임산부·영유아 동반자·노약자가 편리한 가족배려주차장 조성

서울시, 임산부·영유아 동반자·노약자가 편리한 가족배려주차장 조성

Jul 24, 2023 | Q기자

 

서울시가 날로 심각해지는 저출생 위기와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여 ‘가족배려주차장’ 조성에 나선다. 임산부, 영유아, 노약자 및 이들을 동반한 사람들이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접근성과 편의는 높여 약자와 동행하는 교통·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가족배려주차장 조성’은 서울시의 시정 역점사업인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대비하여 다양한 시민을 배려하기 위한 취지의 사업이다. 서울시는 지난 7. 18부터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

서울시, 자립준비청년의 꿈과 첫출발에 동행하는 `자립지원대책 3.0` 추진

서울시, 자립준비청년의 꿈과 첫출발에 동행하는 `자립지원대책 3.0` 추진

Jul 24, 2023 | Q기자

 

서울시가 조금 이른 홀로서기를 해야하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해 다양한 인적 지원체계인 ‘인생버디 100인 멘토단’을 구성하고, 문화·힐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심리·정서 지원을 강화한다. 사회정착 종잣돈인 ‘자립정착금’은 내년에 전국 최초로 2,000만 원까지 올려 현실화하고, 대중교통비 인상에 따른 ‘대중교통비(월 6만 원) 지원’을 오는 9월부터 신설‧지원해 실생활 지출 부담 경감을 통한 생활 안정 지원도 강화한다. 자립준비청년들이 흔들림 없이 자립할 수 있도..

서울시, 당신의 맛있는 아리수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숏폼, 웹툰 공모

서울시, 당신의 맛있는 아리수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숏폼, 웹툰 공모

Jul 21, 2023 | Q기자

 

서울시가 ‘맛있는 아리수 숏폼, 웹툰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의 취지는 아리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고 먹는 물로서 인식 확산을 위한 것이다. 공모전은 숏폼, 웹툰 2개 분야로 자유주제이며, ‘아리수가 사라진다면! 180도 바뀌는 우리 세상’, ‘아리수의 비밀을 파헤쳐라! 험난한 여정을 거쳐 우리에게 오는 아리수’, ‘맛있어져라~ 맛있어져라~ 나만의 아리수 만들기’ 등 다양하고 자유롭게 ‘맛있는 아리수’를 표현하면 된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아리수에 관심 있는 ..

서울시, `아동급식카드` 사용범위 넓힌다···편의점에서 간식도 구매 가능

서울시, `아동급식카드` 사용범위 넓힌다···편의점에서 간식도 구매 가능

Jul 21, 2023 | Q기자

 

서울시가 ‘아동급식카드(꿈나무카드)’를 이용하는 결식우려아동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낙인감을 해소하기 위해 카드 사용범위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결식우려아동은 총 3만여 명으로, 서울시는 아동급식카드, 지역아동센터, 도시락 배달 등을 통해 급식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9년 아동급식카드 결제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이후, 2021년 가맹점을 서울 시내 전체 일반음식점으로 확대하고 2022년 전국 최초로 편의점에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아동들의 선택권 ..

서울시, 디지털 약자의 동반자 `디지털 안내사` 3기 활동 시작

서울시, 디지털 약자의 동반자 `디지털 안내사` 3기 활동 시작

Jul 20, 2023 | Q기자

 

서울시는 7월 20일(목) 오세훈 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약자의 동반자인 ‘제3기 디지털 안내사’ 150명을 위촉하는 발대식을 개최하였다. 이날 디지털 안내사들은 그동안의 활동성과를 공유받고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약자들을 포용하고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시간을 보냈다. 제3기 디지털 안내사들은 2023년 12월 20일까지 기차역, 지하철역, 대형마트 등 어르신들이 주로 방문하는 지역의 다중이용시설 등을 주요 거점으로 하여 순회하면서 시민들에게 무인단말기(키..

서울시, 홍콩에서 유망기업 유치 로드쇼 성황리에 마쳐

서울시, 홍콩에서 유망기업 유치 로드쇼 성황리에 마쳐

Jul 20, 2023 | Q기자

 

서울시가 홍콩 소재 글로벌 및 현지 기업의 서울 유치를 위한 홍콩 투자유치 로드쇼를 성황리에 마쳤다. 서울 투자유치 전담기구인 ‘인베스트서울(Invest Seoul)’ 은 홍콩의 대표적인 무역․투자 촉진기관인 ‘홍콩무역발전국(HKTDC)’과 손잡고, 서울에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서울 포워드(Seoul Forward-Your Next Business Destination)’를 7월 19일(수) 홍콩(St. Regis 호텔)에서 개최했다. 시는 이번 홍콩 로..

양주시, GTX-C·서울-양주 고속도로 기재부 심의 통과… 경기북부 교통중심지 도약‘가속화

양주시, GTX-C·서울-양주 고속도로 기재부 심의 통과… 경기북부 교통중심지 도약‘가속화

Jul 20, 2023 | Q기자

 

양주시가 경기북부 광역교통 중심지이자 대중교통 결절지로 올라설 발판이 마련됐다. 양주시(시장 강수현)은 지난 19일 기재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에서 다뤄진 GTX-C노선과 서울-양주 간 고속도로 건설사입의 심의 통과 결과에 적극 환영의 뜻을 20일 밝혔다. 이번 의결로 GTX-C노선은 착공과 준공일정이, 서울-양주 고속도로는 사업일정이 확정됐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C 노선 사업은 현대건설과 국토교통부간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말 착공하여 2028년까지 ..